티스토리 뷰
목차
가계비가 팍팍한 요즘, 정부에서 주는 지원금을 제대로 챙기는 게 중요하다는 걸 느끼신 분들 많으시죠.
특히 소득이 많지 않거나 자녀가 있는 가정이라면 매년 5월마다 돌아오는 근로·자녀 장려금을 꼭 확인하셔야 해요.
모르고 지나치기엔 아까운 지원금이니까요. 이 글에서는 2025년에 달라진 점부터 신청 조건, 방법까지 정리해드릴테니 약 3분간의 시간을 내어 천천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.
다만 시간이 바쁘시어 빠르게 신청하실 분은 아래의 버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
근로·자녀 장려금이란?
이 제도는 일정 소득 이하인 근로자나 사업자에게 정부가 현금으로 장려금을 지원하는 복지정책이에요.
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분들을 위한 제도이고, 자녀장려금은 만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에 지급됩니다.
국세청에서 관리하고 있고, 조건만 맞는다면 꽤 쏠쏠한 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.
누가 받을 수 있을까?
2025년에는 2024년 한 해 동안의 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. 가구 형태별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아요.
- 1인 가구: 총소득 2,200만 원 이하
- 홑벌이 가구: 3,200만 원 이하
- 맞벌이 가구: 4,400만 원 이하
그리고 재산 조건도 있어요.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 재산이 2.4억 원 미만이어야 하고, 각 가구별로 일정 급여 이상은 지원액이 줄어들 수 있어요. 자녀장려금은 만 18세 미만의 부양 자녀가 있을 때만 해당되며, 실제로 함께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.
신청 방법은 이렇게 하세요
요즘은 모바일로도 쉽게 신청할 수 있어서 훨씬 간편해졌어요.
- 손택스 앱: 간편 인증 후 빠르게 신청 가능
- 홈택스 웹사이트: PC 사용 시 편리
- ARS 전화 신청: 1544-9944로 전화 후 음성 안내 따라 진행
- 세무서 방문: 직접 방문해서 서면 신청도 가능
특히 국세청이 사전에 보내주는 문자 안내에 따라 링크를 클릭하면, 이미 입력된 정보로 거의 자동 신청이 가능해요. 간편하게 몇 번 클릭만 하면 되니 겁먹지 않으셔도 됩니다.
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지급 금액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, 기준 금액은 아래와 같아요.
- 근로장려금
- 단독 가구: 최대 165만 원
- 홑벌이 가구: 최대 285만 원
- 맞벌이 가구: 최대 330만 원
- 자녀장려금
- 자녀 1명당 50만원 최대 100만 원
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이 받을 수 있고, 일정 기준을 넘으면 점차 줄어드는 구조예요.
국세청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서 모의 계산도 가능하니 꼭 확인해보세요.
신청 기간과 놓치지 않는 꿀팁
- 정기 신청 기간: 2025년 5월 1일(목) ~ 6월 2일(월)
- 기한 후 신청: 2025년 6월 1일 ~ 12월 1일 (단, 10% 감액 적용)
가능하면 5월 내에 신청하시는 게 좋아요. 늦게 신청하면 받는 금액이 줄어드니까요.
국세청에서 문자로 안내가 오기도 하지만, 못 받더라도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.
.신청 전 반드시 점검할 사항
신청 전에는 몇 가지 꼭 확인하셔야 해요.
- 가구 전체 재산이 기준을 넘지 않는지
- 자녀가 실제로 함께 거주하고 있는지
- 소득 유형이 정확히 근로·사업·종교인 소득에 해당하는지
이런 점을 놓치면 신청했어도 지급되지 않을 수 있고, 나중에 환수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마무리하며
2025년 근로·자녀 장려금은 소득이 낮은 근로자나 자녀를 양육하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.
5월 한 달 동안만 신청 가능하고, 받을 수 있는 금액도 결코 적지 않으니 잊지 말고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.
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, 몇 번만 해보면 정말 쉬워요. 올해는 꼭 놓치지 말고 정해진 기간 안에 신청해서 도움 받아보세요!